거북목 증후군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5가지

거북목 증후군이란 목이 구부정하게 앞으로 나오는 자세를 오랫동안 방치하여 일자목으로 바뀌는 증상을 말하는데 원인과 증상 그리고 진단 방법부터 치료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거북목 증후군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알아보기 안내 글


거북목 증후군 원인과 증상


1. 거북목 증후군 원인

  • 생활의 디지털 화 시대가 되면서 새로운 질병들이 생겨나는데 그중에서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생기는 질병들이 꽤 있는 것 같습니다.
  • 거북목 증후군도 그중 하나인데요 가장 큰 원인이 장시간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잘못된 자세입니다.
  • 눈높이보다 낮은 컴퓨터 모니터를 내려다보며 작업하는 자세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 처음에는 모니터를 똑바로 보다가 점차 고개가 숙여지면서 목이 길어지고 앞으로 나오게 되는 이런 자세가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면 목과 어깨 근육, 척추에 무리가 가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 또한 책을 보거나 휴대폰을 자주 들여다보는 자세에서도 거북목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상 바른 자세 유지가 필수적이며 스스로가 바른 자세를 가져야 되겠다는 의식을 강하게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증상

  • 거북목 증후군은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분들은 통증이 매우 심하게 나타납니다.
  • 목과 어깨 주변에서 느껴지는 통증
  • 허리나 팔에 느껴지는 통증
  • 평소와 다르게 두통과 눈이 침침해지는 현상
  • 귀에서 소리가 나고 울림 현상(이명)이 나타남
  • 평소와 다르게 나타나는 심한 피로감이나 잦은 피로감
  • 평소에 잘 느끼지 못했던 정신적 압박감
  • 불안, 짜증 등 심리적 이상
  • 불면증


진단 방법


거북목 증후군을 진단하는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스로 진단해 보시고 의심스러우시면 진단을 받아보시기를 추천합니다.


1. 신체검사

환자를 똑바로 서게 한 후 귀의 중간 부위에서 아래로 가상의 수직선을 긋고 이 가상선이 어깨 중간의 수직선상에 있으면 정상, 어깨 중간보다 5cm 이상 앞으로 나와 있으면 거북목 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X-ray 촬영

측면 X-ray 영상을 통해 경추(목뼈)의 전만곡(C자 커브) 감소 정도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C자 커브가 감소하거나 일자형, 또는 역 C자 형태로 변형되어 있으면 거북목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3. 병력 청취 및 신경근육 검사

잘못된 자세로 인한 증상 여부, 지속 기간, 통증 정도 등을 확인하여 목과 어깨 주변 근육과 신경 기능 검사를 통하여 진단합니다.


4. 추가 검사

  • 신경 증상이 있거나 다른 질환과 감별이 필요한 경우 MRI, 근전도 검사 등 추가 검사를 실시하고 거북목 증후군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자세를 관찰 하고 , X-ray 촬영, 병력 청취와 신체검사 등 포괄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좀 더 정확히 들어가 보면 위 2번의 검사는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진단이 되고 1번과 3번의 진료는 재활의학과 전문의에 의하여 진단을 합니다.
  • 두 진료과 모두 거북목 증상이 의심되면 병력 청취와 이학적 감사를 시행하고 X – ray나 MEI 등 영상 의학 검사를 활용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립니다.
  • 특히 신경 증상이 동반되거나 다른 척추 질환과의 진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신경과 전문의나 영상의학과 전문의 등과 함께 협진 하여 정밀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

거북목 증후군의 치료 방법은 크게 약물치료, 주사치료, 운동치료, 생활습관 개선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약물치료

  • 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등을 처방받아 통증과 근육 경직을 완화시킵니다.
  • 급성기에는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여 증상을 조절합니다.


2. 주사치료

  • 경추부 근육이나 관절, 신경에 통증 완화 주사를 투여합니다. 체외충격파 치료도 병행하여 근육 이완과 혈액순환 개선 효과를 노립니다.

3. 운동치료

  • 목과 어깨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처방받아 실시합니다.
  • 스트레칭과 안정성 운동 등을 통해 근육 긴장을 완화시킵니다.
  • 맥킨지 운동 등 환자 스스로 할 수 있는 재활운동도 병행합니다.


4. 생활습관 개선

  • 바른 자세 유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 모니터 높이를 눈높이에 맞추고 바른 자세로 작업합니다.
  • 정기적으로 스트레칭과 휴식을 취하는 생활습관을 기릅니다.

5. 교정치료

  • 도수치료를 통해 경추 전만곡을 교정해 줍니다.
  • 치료사가 수기로 직접 환자의 목뼈를 바로잡아 줍니다.
  • 거북목증후군은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비롯되므로, 약물과 운동치료 외에도 바른 자세 유지와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적입니다. 
  • 지속적인 자세 교정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